자유로운 이야기
단일면에서의 굴절방정식 본문
굴절 방정식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기하광학에서는 임의의 광선을 쫓아서 경로를 찾을 수 있다. 이를 광선추적이라고 한다.
광선추적을 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굴절이 되는 방정식이 필요하다. 복잡한 광학계에 앞서 단일면부터 살펴보자.
위와 같은 단일면이 있다고 하자.
광선은 n의 굴절률을 가진 매질 내 O에서 출발해, u의 각도를 가지고 h의 높이를 가지며 입사한다. 이때 광선은 n'인 매질에서 u'의 각도로 O'의 위치에 다다른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위에서 서술한 각각의 기호들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n 물체측 굴절률
n' 상측 굴절률
u 입사근축각
u' 출사근축각
h 높이
k 면의 굴절능
이다.
굴절능에 대한 설명은 앞선 포스팅(
http://nsgull.tistory.com/83?category=735283
)에 서술해놓았다.
'Op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일면의 초점거리 (0) | 2021.01.26 |
---|---|
단일면에서의 결상방정식 (0) | 2021.01.20 |
광학계에서 각종 거리들 (0) | 2018.10.09 |
광학계의 특이점 - 광심 (0) | 2018.09.30 |
광학계의 특이점 - 절점 (0) | 2018.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