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이야기
단일면에서의 결상방정식 본문
위와 같이 단일면이 존재할 때, 결상방정식을 유도해보려고 한다.
먼저, 기하광학의 특성을 적용해보자
기하광학에서의 각도는 매우 작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이 근사값을 정리할 수 있다.
이 근사값을 스넬(Snell)의 법칙에 적용하면,
이 된다.
이를 기준으로 위 그림을 보면,
는, 삼각형 ACP의 외각이므로,
이다.
여기에 '근사값을 적용한 스넬의 법칙'을
대입하면,
가 된다.
여기에 삼각형 APC의 외각을 정리한
를 대입하면
가 된다.
한편, 앞서 말한 기하광학 전제(각도가 매우 작다)를 위 그림의 각도들에 적용하면
과 같이 근사할 수 있다.
근사값들을 대입하고 정리하면,
과 같이 쓸 수 있다
'Op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일면의 초점거리 (0) | 2021.01.26 |
---|---|
단일면에서의 굴절방정식 (0) | 2018.10.15 |
광학계에서 각종 거리들 (0) | 2018.10.09 |
광학계의 특이점 - 광심 (0) | 2018.09.30 |
광학계의 특이점 - 절점 (0) | 2018.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