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이야기

기하광학에서의 부호 규약 본문

Optics

기하광학에서의 부호 규약

Gull N S 2018. 8. 25. 12:14

 기하광학은 기하학이다. 작도가 필요하니 당연히 부호가 존재한다. 혼란을 막기 위해 부호 규약(약속)을 맞췄다.

출처 : 청주대학교 광공학과


 위는 3차원으로 표현한 기하광학계의 좌표계이다. 통상 Z축을 광축이라고 말한다.





 2차원으로 표현할 때 Z축 기준으로 빛은 좌에서 우로 진행한다.

(만약 광선 추적을 했을때 빛이 우에서 좌로 표현된다면, 굴절률이 음수이다.)




출처 : 청주대학교 광공학과


 우측으로의 길이는 양의 값으로, 좌측으로의 길이는 음의 값으로 기재한다.





출처 : 청주대학교 광공학과


 다음으로, 곡률 반경에 대한 규약이다.

V를 기준으로 C가 오른쪽에 있으면 양의 값으로, 

V를 기준으로 C가 왼쪽에 있으면 음의 값이다.

위 그림을 참조하면 되겠다.




출처 : 청주대학교 광공학과


 마지막으로 각도에 대한 규약이다. 위 그림에서 검정색을 광축(통상 Z축)이라고 했을때, 

반시계 방향은 양의 값으로

시계 방향은 음의 값으로 기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