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이야기
생활 체육 야구, 탈삼진왕의 역설 본문
출처 : 일간스포츠
프로야구와 마찬가지로, 생활체육 야구(통상 사회인 야구라고 부른다)에서도 타이틀왕이 있다. 투수들의 자랑이라 할 수 있는 탈삼진왕도 그 중 하나이다. 그러나 그 의미가 같지는 않다.
기본적으로 사회인 야구는 타고투저의 양상이 강하다.
단순한 실력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 프로야구 선수 투수 출신이 고전하는 경우도 많으며, 타자는 첫 시즌 엄청난 부진을 겪는다. 필자도 모르는 사회인 야구만의 특징이 있는 것 같다. 어쨌든 그럼에도 탈삼진이 많은 경우는 두가지이다.
첫째로, 투수가 압도적인 실력을 가지고 있을 경우이다. 프로야구 탈삼진왕처럼, 속구, 구위, 변화구, 제구 등으로 삼진을 잡는 경우이다.
둘째로, 수비가 취약한 팀에서 소속될 경우이다. 수비가 아웃카운트를 올려주지 못해서 삼진 외에 아웃을 잡을 수 없는 상황이 이에 해당한다. 이것이 바로 탈삼진왕의 역설이다.
하위리그일수록 그 특징이 뚜렷하다. 상위리그이든 하위리그이든 웬만하면 타자가 공은 건들인다. 이 공을 수비에서 아웃을 만드느냐, 에러 혹은 내야안타 등을 허용하느냐가 리그 수준을 가른다. 상위리그의 경우, 프로 선수들조차 혀를 내두를 정도의 수비를 보인다. 생활야구인들이 맞냐고 물을 정도이다. (물론, 엘리트 야구교육을 받았던 생활 야구인들도 많다.)
즉, 탈삼진이 많다고 엄청난 투수가 아니라는 이야기이다. 기록만으로 투수를 판단할 때 평균자책점을 참조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기록원의 경향에 따라 많이 갈리는 편이다. 상황에 따라 주는 경향, 웬만하면 안타를 주는 경향, 가차없이 에러를 주는 경향이 있다. 즉, 객관적이지 않다는 이야기이다.
또, 팀 순위를 참조하는 경우는 생활체육 특성상 투수의 참불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투수를 판단할 때 위와 함께 참조하면 좋은 것으로 이닝수가 있을 것 같다.
소속팀의 에러가 많다면 수비시간이 길어진다. 시간제한이 있는 특성상 이닝수가 적을 수 밖에 없다. 경기수에 비해 이닝수가 적고, 탈삼진 수의 차이가 적다면, 바로 탈삼진왕의 역설에 해당할 가능성이 크다.
'야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야구 선수 협회에 대한 알 수 없는 시선 (0) | 2018.10.10 |
---|---|
투수의 인터벌(interval) (0) | 2018.09.25 |
야구 사인과 사인 훔치기 (0) | 2018.09.08 |
야구공 공포증과 치료에 대하여 (0) | 2018.08.25 |
야구 타격폼의 정석과 변화추세에 대하여 (0) | 2018.08.13 |